본문 바로가기

공부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필기 출제사항(2015.1.1~2024.12.31)

 

안녕하세요.

국가기술자격증 중에 영상편집 관련 자격증도 있는데요. 바로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입니다.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는 정보처리기사처럼 기사급의 국가기술 자격증이지만, 인기 자격증이 아니다 보니 많이 알려지지 않았고, 응시하는 사람들도 적어 시험도 1년에 2번만 치러집니다.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 Q-net

 

www.q-net.or.kr

올해 초 우연히 이 자격증의 존재를 알게 되었는데, 마침 2022년 1회 정기 기사 필기 접수기간이어서 응시를 하였어요.

필기시험 준비는 전자문제집 CBT에서 2016년부터 2021년 기출문제로 출제경향을 살펴보고, 정보처리기사, 웹디자인기능사 및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필기로 공부를 하였고, 다행히 한번에 합격을 하였어요.

 

https://www.comcbt.com/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전자문제집, CBT, 컴씨비티, 씨비티,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컴활, 컴퓨터활용능력, 1급, 2급, 워드, 정보처리, 전기, 소방, 기계, 사무자동화, 정보기기, 제과, 제빵, 한국사, 공무원, 수능, 필기,

www.comcbt.com


아래 내용은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필기 출제사항2015년부터 2024년까지 키워드를 정리한 것이에요.

 

3과목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시스템카탈로그와 뷰' 관련 내용은 현재 삭제되었고, 다른 것들은 용어만 변경되거나 문항수가 적었지만, 많이 출제되는 것으로 바뀌었습니다.

 

 

2016년부터 기출문제를 훑어보면, 계속 꾸준히 나오는 문제, 출제 비중이 늘어나는 문제, 줄어들거나 없어진 문제, 기술의 발달로 새롭게 출제되는 문제가 있었어요.


   과목 1. 멀티미디어 개론   

1-1. 멀티미디어 시스템과 활용

하드/소프트웨어, OS, 그래픽/사운드 프로세싱, 미디어 처리기술 종류, 입출력 장치, 저장매체

 

1-2. 멀티미디어 기술 발전

인터넷 방송, IPTV, OTT, 가상증강 현실, 인터넷 일반, OSI 7계층, 정보보안, 해킹

 

   과목 2. 멀티미디어기획 및 디자인   

2-1. 기획 및 구성

기획, 정보 유형/단위, 스토리보드, 사용자 인터페이스

 

2-2. 멀티미디어 디자인 일반

디자인 의미/분류, 디자인 요소 및 원리, 타이포그래피, 레이아웃, RGB/CMYK/index/그레이스케일/Duotone 모드 등 색상모델, 캘리브레이션

 

2-3. 컬러 디자인 일반

색 지각 원리, 색의 3속성, 색입체, 색의 혼합, 배색, 색체조화, 표색계, 색명 

 

   과목 3. 멀티미디어 저작   

3-1. 멀티미디어 프로그래밍

HTML(공통, 골격, image, 하이퍼링크, Header, nav, article, section, aside, footer, em, hr, Canvas 등),

CSS(기본규칙, 색상과 배경, 텍스트스타일, 상자스타일, 레이어스타일),

자바스크립트 기본 문법, API

 

3-2. 데이터베이스

DB, DBMS 기능 및 구성, 관계형 DB모델, SQL(DDL, DML, DCL, Embeded SQL) 시스템 카탈로그와 뷰

 

   과목 4. 멀티미디어 제작기술   

4-1. 디지털 영상 콘텐츠 제작

영상/음향, 촬영/편집/녹음 기법, 영상/오디오 format, 조명, 압축/복원, 신호처리

 

4-2. 애니메이션 콘텐츠 제작

애니메이션 원리, 종류, 제작기법

 

4-3. 그래픽 콘텐츠 제작

2D/3D의 개념/원리/사용도구, 모델링 기법(닥각형면, 매개변수 등), 은면제거기법(Z버퍼/깊이정령기법), 압축 처리 방법, 렌더링, 애니메이팅/키애니메이션

 


 

 

큐넷 자격증의 출제기준이 2015-2019(4년), 2020-2021(2년), 2022-2024(3년)으로, 기간이 조금씩 다릅니다.  출제기준 파일을 첨부했다가 저작권 위반일까봐 삭제했어요. 현 시점에서는 큐넷에 2020-2021년 것과 2022-2024년 것이 아직 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큐넷을 이용해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