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질환별 조혈모세포이식 환자 수 및 생존률

 

안녕하세요.

저도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지 만 8년이 되었네요. 

이식이 한달 만에 실패로 돌아가고 병원에서 재이식 얘기가 나왔지만, 다시 실패할 수도 있고, 이 무균실을 제 발로 걸어갈 수 있을지 불안하고 무서웠어요. 

 

재이식 후 폐숙주가 왔을 때에는 더 큰 두려움이 생겼고, 같이 이식을 받은 사람들에게 나쁜 소식을 전해 들으면 이 번엔 내 차례인가 싶은 생각으로 잠을 못 이루기도 했고요.

 

멈춰있을 것 같은 시간이 흘러 8년이 되었지만, 사실 10년 이후로 다른 고형암 발생이 늘어난다고 하여 무섭기도 합니다.

 

이런저런 이유로 저보다 먼저 이식을 받은 사람들이 잘 지내기를 바라면서도, 현실이 궁금하여 조혈모세포이식 관련하여 통계를 찾아보니, 보건복지부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에서 매년 장기이식 관련하여 간행물을 발행하고 있었어요. 2011년부터 있는데, 조혈모세포이식 관련하여서는 2013년 간행물부터 있고 다른 장기에 대한 내용도 있지만, 일단은 조혈모세포이식 내용만 정리해보았어요. 보건복지부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의 자료임을 참고해주세요.

 

아래 표에는 2009년 것부터 나와 있는데요, 2018년 8월 9일부로 장기이식법 시행령 '살아있는 사람으로부터 적출 가능한 장기 등'에 말초혈이 포함되어 2018년 항목에는 2018년 8월 9일 이후로 말초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사람들의 수가 포함된 것이고,  2009-2017년 자료는 순수하게 골반의 골수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사람들의 수입니다. 

 

진단명별 조혈모세포이식 현황

 

조혈모세포이식을 받기 전에는 많은 돈을 들여 이식을 받으면 얼마나 살 수 있을지, 혹시나 내 치료비로 가족들만 힘들게 하고 떠나는 게 아닌지 등 이식 성공률, 생존율 등이 궁금해지죠. 병원에서 이식이 성공했다고 얘기하는 기준 지점이식 100일이라고 해요.  아래 표에서도 3개월부터 생존율을 집계한 이유도 그런 맥락이지 않을까 싶어요.

 

조혈모세포이식 생존률

 

혈액암이든 중증재생불량성빈혈이든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지 않으면 3개월 내에 지구별 소풍을 마쳐야 하지만, 이식을 받으면 11년 이상 지구별 소풍을 이어갈 수 있고,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의학기술이나 신약들이 개발되고 있기에 생존율은 더 높아질 수 있을 거예요. 

 

신장, 폐, 간, 안구 등 장기이식 관련하여 더 알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에서 자료를 다운로드하실 수 있어요. 

https://www.konos.go.kr/board/boardListPage.do?page=sub4_2_1&boardId=30 

 

자료>통계자료>통계연보 |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

가톨릭조혈모세포은행 대한적십자사 사단법인 생명잇기 (재)한국기증자유가족지원본부 (사)생명나눔실천본부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 (재)사랑의장기기증운동본부 (사)안구기증운동협회 (재)

www.konos.go.kr

 

반응형